지방자치단체 인권행정의 실무(2016 인권도시연구소 기획)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인권도시연구소 작성일16-12-02 11:38 조회1,786회 댓글0건본문
서울시 인권행정의 도입과정에 직접 참여했던 저자들이 그 동안의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인권행정을 도입하려는 지방자치단체들을 실무적으로 돕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장이나 인권 담당 공무원, 인권위원회 위원, 인권도시나 인권행정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고 싶은 시민들이 함께 보면 좋을 것입니다.
이 책은 먼저 인권행정이 제기되는 배경과 인권 및 인권도시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글이 나오고, 뒤에서는 인권행정에서 다루어지는 내용들은 무엇이고, 어떻게 이해하여 실무적으로 다룰 것인지를 안내하는 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책이 지방자치단체들이 인권행정을 도입하고 추진해 나가는데 작은 길잡이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우필호
2016년 11월 현재 인권도시연구소 대표와 서울시 인권위원회 위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인권에 기반한 도시정책과 인권교육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동양일보 사회부 기자와 참여연대 실행위원,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팀장, 서울시 인권팀장 등으로 일한 경험이 있습니다. 함께 쓴 책으로 『인권도시』가 있습니다.
노승현
인권도시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인권행정 도입, 인권침해와 차별에 대한 조사 및 구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대통령소속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전문위원과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관, 서울시 시민인권보호관 등으로 일한 경험이 있습니다.
저자의 말
1. 지방자치단체의 인권행정 도입은 자연스러운 현상
2. 인권, 그리고 인권도시
3. 인권규범 만들기
4. 인권 전담기구의 설치하기
5. 인권침해 구제는 중요한 인권행정사무
6. 인권의 감수성을 높이는 인권교육의 시행
7. 인권정책 기본계획 수립하기
8. 인권영향평가와 체크리스트 작성
9. 생각해 볼 만한 인권행사들
10. 민관협력은 다양하다
나오는 말
부록
1. 서울특별시 인권교육 모니티렁 설문지 사례
2. 지방자치단체 인권침해 권고 결정례 사례
3. 인권영향평가와 관련 인권위원회의 권고 결정 사례
* 구입 문의 : 인권도시연구소 02)6094-5302/ e-mail : hrcity@naver.com